지난 금요일 12월 고용보고서가 발표되고
나스닥 Snp 다우지수가 반등했습니다.
12월 미국 비농업 고용지수 22만 3천 명(시장 예상치 20만 명) 발표되고
여전히 강한 고용세임을 확인했습니다.
하지만 시장은 고용보다 임금에 주목했고
시간당 임금은 전월대비, 전년대비 모두 낮아졌다.
CPI지수가 천천히 내리고 있는 와중에 미국의 강한 고용이
임금상승을 부추겨 인플레이션이 꺾이지 않고 있는 상황이었지만
임금이 낮아짐이 곧 인플레이션의 꺾일 것이라 판단하고 주가가 반응한 듯싶다.
고용은 증가했지만 임금 상승세는 낮아졌다
모두가 경기침체를 예상하며 지나가는 할머니도 경기침체가 올 거라고
예상하고 있는 시점에 인플레이션은 서서히 잡히며
경기는 심하게 꺾이지 않는 경기의 연착륙이 가능할 수도 있다는
이야기도 나오기 시작했다.
아무도 예상하지 못하고 그저 정해진 기간 정해준 수량 금액으로
매수할 뿐이다.
TQQQ는 계좌 양전했기 때문에 원칙을 지키며 더 이상 매수진행은
하지 않는다. 다만 또 언제 떨어질지 모르기 때문에
규칙에 맞게 매수 진행할 뿐이다.
환율이 1243원 고점대비 -13프로 하락하고 있다.
달러 1400원이 넘어갈 때 달러 인버스의 유혹이 있었지만 실행에 옮기진 않았다
달러가 빠지니 총자산이 많이 내려가긴 하지만 달러 또한 예측할 수 없는 부분이니
받아들인다.
다만 1400원대 이상에서 달러 인버스 유혹에서 과감하게 투자하지 못했던 게 조금은
아쉽게 다가온다.
왼쪽 TLT 오른쪽 TMF
그렇다면 지금부터 미국 국채 ETF TLT 나 TMF
분할매수로 접근해보는 것도 나쁘진 않아 보인다.
이번주 CPI가 발표된다.
CPI가 둔화되고 있는 건 기정사실화 되고 있고 예상치대로
나오는지 지켜봐야 한다.
추가적인 하락보단 횡보하며 자리를 지켜주길 바라는 심정
12월 CPI 지수 발표일정 및 예상치
미국 날짜 시간 : 2023년 1월 12일 목요일 오전 8시 30분
한국 날짜 시간 : 2023년 1월 12일 목요일 오후 10시 30분
근원 소비자 물가지수 예상치(YoY)(12월)
예상치 5.7% 이전 6.0%
소비자 물가지수 (YoY)(12월)
예상치 6.5% 이전 7.1%
study)
1. 근원소비자 물가 = 소비자 물가지수 - (식품+에너지)
2. 뒤에 붙은 MOM YOY의 뜻
MOM Month on month의 약자
입니다 - 전월대비 증감률YOY Year on Year의 약자입니다. - 전년 동기대비 증감률
추가로 이번주부터 실적이 발표된다.
지수투자하면서 사실상 실적에는 크게 관심을 안 두고 있지만
작년 박살 나던 개별주식들의 모습은 더 이상 안 나오길 바라본다.
'The journey to the Rich > 투자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QLD레버리지장기투자57주차 - 미국주식 한주간 증시흐름 (9) | 2023.01.28 |
---|---|
레버리지 장기투자 56주차) Qld적립매수(ft.tqqq매도 키움 선입선출 30만원수익실현했지만 양도세는 -1만원) (6) | 2023.01.22 |
토스증권 해외주식 소수점매매 주식모으기 Spy etf 10달러 매일 매수 시작(ft:수수료무료 적극활용) (6) | 2023.01.19 |
레버리지장기투자55주차)QLD적립 (ft:주식하기 너무 좋은세상) (11) | 2023.01.16 |
레버리지 52주차) 2022.12.31일 투자기록 23년도계획 (0) | 2023.01.09 |
댓글